스페셜 칼럼

교육 매거진스페셜 칼럼
학습지도
김종원
[인문학 수업] 공부 경쟁력, 어떻게 갖출 수 있을까?
2019.11.15
조회수 : 1153

공부 때문에 부모를 걱정하게 만드는 아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① 한때 공부를 잘했지만, 지금은 공부를 하지 않는 아이.
② 자신이 왜 공부를 못하는지 모르는 아이.
③ 성적이 갑자기 떨어졌는데 오를 기미가 보이지 않는 아이.

 

 

 

 

이런 식의 모든 현실은 부모를 힘들게 한다. 공부를 하라고 아무리 말해도, 좋은 학원을 다녀봐도 문제는 풀리지 않고 한숨만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정작 당사자인 아이는 너무나도 편안하다는 사실이다. 부모의 마음은 정말 힘들고 걱정에 잠도 제대로 못 자는데 아이는 세상 편안한 표정으로 사는 이유가 뭘까? 

 

아이가 “넌 걱정도 안 되니?”라는 하소연을 하고 싶을 정도로 편안한 표정을 짓는 이유는, 지금 자신에게 왜 공부가 필요한지 정말로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이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아는 아이는 가만 있을 수가 없다. 하지만 아무 것도 모르는 아이는 편안하다. 이게 가장 큰 문제다. 해결책은 없는 걸까?

 

 

 

 

시선을 돌려서 공부와 인성, 그리고 기품까지 갖춘 사람들에게 “열심히 공부한 세월로 당신은 무엇을 얻었나요?”라고 물으면 어떤 답이 나올까?

“좋은 직장에 다니고 있죠.”

“멋진 이성을 만나 사귀고 있죠.”

“돈과 지위를 얻었습니다.”

이런 답은 그것을 갖추지 못한 사람의 상상일 뿐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원하는 것을 아무것도 얻지 못한 거라고도 볼 수도 있다. 공부와 인성, 기품까지 갖춘 사람들의 답은 매우 간단하다.

 

“저는 보상을 받기 위해 공부한 게 아닙니다.”

 

앞서 소개한 공부와 인성, 기품까지 갖춘 사람들의 세월을 거꾸로 들여다보면, 공부 경쟁력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알게 된다.

 

①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열심히 했다.
② 이유는, 그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③ 그 이유는, 무엇이 부족한지 스스로 깨달았기 때문이다.
④ 모든 이유의 본질은, 기초 지식부터 차근차근 배웠기 때문이다.

 

수많은 학자와 과학자를 배출한 독일의 수학 교육은 기초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수학의 기초인 구구단을 매우 특별한 방법으로 배운다. 초등학교 2학년부터 무려 1년간이나 구구단을 배우는 것이다. 놀랍게도 가장 쉬운 2단을 배우는 데 몇 개월을 투자하기도 한다. 아니, 사실 배우는 게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깨우칠 때까지 기다린다. 이유는 간단하다. 기초가 가장 중요하며 그게 바로 흥미로 이어지며 그 아이의 공부 경쟁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공부 잘하면 원하는 거 모두 다 사줄게.”라는 말은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달콤하다. 돈만 있으면 서로가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그게 훗날을 생각할 때 좋은 선택일까? 아이는 당근을 주면 따라오는 말이 아니다. 왜 자꾸 아이를 동물로 만들려고 하는가? 먹이만 따라가는 동물, 공부만 잘하는 아이, 결국 같은 표현이다.

 

결국 기초를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우리는 기초를 멋지게 응용할 수 있다. 탄탄한 기초가 아이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대상이 무엇이든 그것에 대해 가장 확실하게 아는 방법은 반복이다. 모든 배움은 일상에서 아주 느리게 시작해야 한다. 계단을 올라가면서도 우리는 아이에게 구구단의 2단을 알려줄 수 있다. 한 번에 두 계단씩, 두 번 올라간 후에 “엄마가 지금 총 몇 계단을 올라갔지?”라고 물으며 자연스럽게 구구단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일상이 배움이고, 배움이 일상이라는 사실을 아이가 알게 된다면 공부에 재미가 붙고, 성취감을 느끼며, 현실에 유용하다는 것도 동시에 알게 된다. 일상이 배움이고, 배움이 일상이다

DSC00005_60.jpg
김종원
약력소개
인문교육 전문가
책과 강연, 방송과 학교 등을 통해 인문학을 대중화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는 콘텐츠 디렉터
주요저서
『아이의 공부 태도가 바뀌는 하루 한 줄 인문학』
『아이를 위한 하루 한 줄 인문학』
『부모 인문학 수업』
『말의 서랍』
『생각 공부의 힘』
『사색이 자본이다』
『가장 낮은 데서 피는 꽃』
『서른 법칙』

한줄 의견을 나눠 보세요

0개 의견이 있습니다.

(주)비상교육 학부모 커뮤니티 대표자명 : 양태회 주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48 대륭포스트타워 7차 20층
사업자등록번호 : 211-87-0773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서울구로-2731호 TEL : 1544-0554 FAX : 02-6970-6149 E-mail : momntalk@momntalk.com

Copyright © 비상교육.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