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씽킹을 하려면 텍스트를 비주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비주얼로 표현한다는 게 굉장히 잘 그린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비주얼씽킹의 간단한 기본 요소만 알아도 충분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비주얼씽킹의 자음, 모음과 같은 기본 요소들을 알아보고, 비주얼씽킹 레이아웃의 종류를 알아보려 합니다.
<비주얼씽킹의 기본 요소>
다음과 같은 기본 요소들을 활용해서 중요한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 기본 도형 : 점, 선, 삼각형, 사각형, 원 등
● 리본 및 배너: 제목이나 메시지를 강조할 때 사용
● 화살표: 흐름을 표현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
● 말풍선: 대화를 설명하거나, 사람이나 상황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
● 사람: 원과 직선, 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스틱맨처럼 표현하거나 별 모양 위에 동그라미를 붙여서 표현
● 사물: 특징을 잡은 뒤 간단한 도형을 이용하여 표현
<비주얼씽킹의 레이아웃 고르기>
레이아웃은 비주얼씽킹의 큰 틀입니다. 비주얼씽킹으로 표현할 내용이나 주제에 따라 레이아웃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레이아웃들을 많이 사용하지만, 꼭 이와 같은 레이아웃이 아니더라도 자유형 레이아웃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비주얼씽킹할 수 있습니다.
● 핑거형 레이아웃
자신의 손 모양에 이미지와 텍스트로 채우는 방법입니다.
Ex) 자기 소개, 이야기 속 등장인물 정리
● 버블형 레이아웃(방사형)
중심 버블과 주변 버블로 이루어져 있는 틀에 이미지와 텍스트를 채웁니다. 가운데에 주제를 적고 주제와 관련된 것, 생각나는 것을 주변에 적습니다.
Ex) 지구촌 세계시민으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생각하기, 사각형의 특징, 산성물질의 특징
● 더블 버블형 레이아웃
두 가지 주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때 씁니다. 버블형 레이아웃 두 개를 나란히 배치해서 두 주제를 비교하는 형태입니다. 두 개의 큰 중심 버블을 그리고, 가운데에 주제를 씁니다. 겹치는 버불에는 공통점을, 겹치지 않는 곳에는 차이점을 쓰면 됩니다.
Ex) 지구본과 세계 지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 플로우형 레이아웃(시간흐름형)
일정한 순서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정리할 때 활용합니다. 여러 개의 박스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배열합니다.
Ex) 줄거리 정리, 역사 흐름, 과학실험 정리
● 트리형 레이아웃
큰 주제를 유형별로 분류하거나, 구성 요소를 정리할 때 사용합니다.
Ex) 문장의 종류, 자연환경, 인문환경의 구성요소, 물질의 상태(고체, 액체, 기체)
이렇게 비주얼씽킹의 기본 요소와 레이아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떠신가요? 생각했던 것보다 간단하지 않은가요? 비주얼씽킹은 잘 그리는 것보다 핵심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비주얼씽킹을 하며 학습 내용을 어떤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을지, 어떤 내용을 담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하다 보면 자연스레 학습이 됩니다. 그리고 직접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이 머릿속에 단단히 자리잡게 되지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토대로 비주얼씽킹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약력소개
- - 현직 초등교사
- EBS 공채 강사
- 주요저서
- <초등 마음 처방전>
<초등 학습 처방전>
<초등 입학 처방전>
<초등 5학년 국어 어휘력을 잡아라>
<수상한고물상 행복을 팝니다>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