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칼럼

교육 매거진스페셜 칼럼
생활지도
맘앤톡
자존감 강한 아이로 키우기
2018.01.10
조회수 : 5883

 

자존감이란 자기존중감의 준 말로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긍정적인 존재로 평가하는 말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과거부터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존중 받을 만한 일들을 겪지 못했기 때문에 스스로를 믿지 못하고 낮게 평가하게 된 것입니다. 자존감이 낮으면 공부를 하면서도 스스로에 대한 불신으로 노력만큼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도 대단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이에게 적당한 자존감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부모로서의 판단과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일반적 반응 : “자존감이란 건 원래 성격처럼 타고나는 거야. 괜히 자존감 약한 걸 가지고 부모한테 뭐라 하면 안 되지. 될 아이는 부모가 팥쥐라도 되는 거고, 안 되는 아이는 콩쥐라도 안 되는 거라구.”

 

모범적 반응 : “평소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대하느냐가 중요해. 아이의 능력을 믿어주고 틈날 때마다 넌 할 수 있어’, ‘잘할 수 있어라고 자신감을 북돋워주면 자존감이 커지는 거고 자꾸만 남과 비교하고 더 잘하라고 채찍질만 하면 자존감은 줄어드는 거야. 아이 자존감은 부모하기에 달렸어.”

 

자존감은 세상과 자신이 분리되어 있음을 지각하고 자아상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어린 시절부터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자녀가 성장하는 시기에 부모가 보여주는 반응에 따라 자존감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죠.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이의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렇다면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기 위해 어떤 점을 생각해야 할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째, '엄마'의 자존감은 어느 정도인가요?


많은 부모들이 나는 부모가 되면 내 자녀에게 우리 부모님과는 다르게 행동해야지라고 다짐을 하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부모의 행동을 그대로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유사한 상황에서 자신이 보고 자라며 학습하게 된 내용을 무의식중에 그대로 되풀이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녀의 자존감을 높이고 싶다면 우선 부모 자신의 자존감은 과연 어느 정도인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존감 높은 부모에게서 자존감 높은 자녀가 성장할 수 있습니다.

 

둘째, 아이의 능력을 진정으로 믿고 계시나요?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아이가 진정으로 가치 있고 긍정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무조건적으로 믿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속으로는 아이를 믿지 않으면서 겉으로는 믿고 있다는 식의 말과 행동을 하게 되면 진심이 금방 드러나게 되고, 아이도 금방 알아채게 됩니다. 이 경우 자존감을 키우기는 커녕 부모에 대한 불신이 커지기 때문에 더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죠. 부모의 반응에 의해 아이의 자존감이 결정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진심으로 아이를 믿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존감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스스로 의식할 때 조금씩 형성되는 것입니다. 부모나 선생님의 칭찬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자신의 의도나 행동과 일치한다고 느껴야 자존감이 커집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부모가 진심으로 아이를 믿지 않은 상태에서 겉과 속이 다른 칭찬을 하면 효과가 없다고 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입니다.

아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목표 달성을 통한 성취감을 자주 느끼게 해주는 것이 자존감을 키우는데 중요한데요, 쉽게 말해 어떤 일이든 스스로 할 수 있게 도와주고, 끝까지 마무리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만 해도 어느 정도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자존심의 의미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자존심과 자존감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감도 높지만 자신감이 높다고 자존감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이는 자존감이 자신감과 함께 자기가치감이라는 또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인데요. 자신감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을 의미하고 자기가치감은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 인식하고 그렇게 여기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자존감은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때문에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설령 실패를 하더라도 실패에서 빨리 회복해서 다시 도전하는 능력(회복탄력성)이 강합니다.

 

자녀지도 TIP

1. 인터넷이나 서적 등의 자료를 통해 자존감에 대한 정확한 뜻을 찾아봅니다.

2. 사전적 정의부터 심리학적 정의까지 다양한 정의가 나오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합니다.

3. 자존감의 정의에서 한발 더 나아가 자존감을 키우는 요소와 방해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둘째, 부모 자신의 자존감 되돌아보기


앞서 설명한대로 부모가 자존감이 높다면 자녀도 자연스럽게 그 모습을 따라 배우게 됩니다. 반대로 부모 자신이 자존감 없는 모습을 보이면서 자녀에게는 자존감을 가질 것을 자주 강조한다면 자녀는 자존감이 커지기는 커녕 부모의 이중적인 모습에 거부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모가 먼저 자신의 자존감이 어느 수준인지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점검해본 결과 자존감이 보통 이하로 낮게 나온다면 부모 스스로 자신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해봐야 할 것입니다.

 

자녀지도 TIP

1. 자존감 체크리스트를 구해서 자가진단해 봅니다.

(자료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2~3개의 체크리스트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체크 결과 자존감이 매우 낮게 나온 경우 심리 전문가에게 진단을 받아봅니다.

3. 전문가의 진단 결과도 좋게 나오지 않을 경우 전문가에게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을 요청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살리는 말과 행동 TIP

1. 애정을 담은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고 보듬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어떤 행동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데,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도 공감적 반응을 먼저 보여주고 아이의 행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조언하도록 합니다.

ex) 자녀가 성적이 떨어져 속상해 하는 상황이라면 공감적 반응을 먼저 보여주고 설득적 반응을 보여주도록 합니다.

이런 경우, 부모의 수용을 통해 아이는 성적과 관계없이 자신이 소중한 존재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부정적 정서에 대한 해소가 이루어져,

이성적으로 문제를 대처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비판적 반응] 그러게 평소에 공부 좀 하지 그랬어!’ ‘그렇게 공부해놓고 성적이 잘 나오길 바라니?’ (X)

[설득적 반응] 다음부터 열심히 공부하면 되지.’, ‘이번에 어떤 점이 부족했나 생각해보고 다음 번엔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공감적 반응] 열심히 했는데, 기대했던 것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아 많이 속상한가 보구나.’

 

 

셋째, 작은 성취의 경험을 반복해서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아이가 하는 일이 미덥지 않아서 좀 더 잘 해주려는 마음에 부모가 나서서 아이의 일을 대신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방 정리를 시킨 후 아이가 한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 잔소리를 하며 다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일이 반복되면 아이는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지 못하게 되고, 어차피 부모가 다시 할 일이기 때문에 대충대충 처리하려고 들 것입니다. 이렇게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작은 행동에서부터 자존감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가 작은 성취의 경험을 반복해서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일을 잘 마무리 했을 때에는 칭찬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지도 TIP

1. 아이에게 위임한 일이라면 끝까지 믿고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2. 스스로 계획한 일은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을 직접적으로 도와주라는 의미보다는 아이가 무리한 계획을 세우기보다

자신이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도와주는 등의 간접적인 도움을 의미합니다.)

3. 절제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용돈을 주고 그에 맞춰 생활하도록 한다던가, 숙제를 먼저 마친 후 친구들과 노는 습관 등은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자신의 의지를 조절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관련된 다른 칼럼/영상도 확인해보세요

한줄 의견을 나눠 보세요

0개 의견이 있습니다.

(주)비상교육 학부모 커뮤니티 대표자명 : 양태회 주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48 대륭포스트타워 7차 20층
사업자등록번호 : 211-87-0773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서울구로-2731호 TEL : 1544-0554 FAX : 02-6970-6149 E-mail : momntalk@momntalk.com

Copyright © 비상교육.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