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칼럼

교육 매거진스페셜 칼럼
학습지도
맘앤톡
우리 아이의 공부 성향 살펴보기
2018.02.05
조회수 : 4932

 

 

아무리 좋은 자세, 바른 공부 방법이라고 해도 내 아이가 불편해하면 아무 효과가 없다. 반찬 하나를 해주면서도 아이의 취향을 고려하고 선물을 하나 사주면서도 아이에게 물어보면서, 왜 공부에 대해서는 아이의 성향을 생각하지 않을까?

더 나은 공부 방법을 찾아 헤매기 전에 아이의 성향을 먼저 살펴야 할 것이다. 더 노력하라고 다그치기 전에 아이에게 거추장스럽고 불편한 공부를 강조하고 있는 건 아닌지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첫째, 보편적인 공부의 왕도에 더 이상 얽매이지 말자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인 공부의 왕도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 방법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고 입맛이 다르듯이, 공부 성향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공부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는 공부가 편하고 즐겁게 느껴지는 정서적인 반응과 그에 대한 기억이다. 이제 더 이상 ‘공부는 이렇게 해야지’ 하는 강요로 아이의 공부 정서를 해치지 말자. 개성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못한 보편적인 원리나 원칙은 공염불이 될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라도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애매하지만 자신에게 맞다고 느껴지는 그 무언가가 바로 최선의 선택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둘째, 학부모 자신이 갖고 있는 공부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상담을 하다 보면 정말 고집 센 부모님들을 자주 만난다. 새로운 발상이나 접근에 대해 극히 폐쇄적인 분들이다. 개중에는 겉으로는 인정하는 모양새를 취하지만 내심 부정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분들도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모범적인 코스를 밟으며 공부한 부모님들은 더더욱 확고부동하다.

이렇게 한 번 생각해 보자. 학습이란 두뇌의 작용이다. 그런데 그 두뇌가 백이면 백 모두 다르게 생겼다면, 그에 따라 정보를 받아들이는 성향도 모두 다른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 현대 과학이 두뇌에 대한 사실을 밝혀냈으니, 이제 학습 방법에 대한 부모님들의 생각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개인적인 경험과 사회적인 통념은 더 이상 집착할 것이 못 된다. 어쩌면 두뇌의 개성을 무시한 고정관념이 지금 아이의 자유로운 두뇌 활동을 억누르고 있는지도 모른다.

 

셋째, 공부 스타의 성공 스토리를 무작정 베낀다는 건 무리한 억지에 불과하다.

많은 사람들이 공부 스타의 화려한 면만 보고 그들의 남다른 의욕 뒤에 있는 개인적인 가정환경이나 독특한 삶의 경험은 보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처음에는 그 얘기에 동화되어 의욕이 용솟음쳤다가도 오래가지 못한다. 화려한 공부 기술을 갖기 위해 과감한 계획과 실천을 시도해 보지만, 결국 자신의 무능력만 탓하며 좌절하기 일쑤다.

심각한 것은 많은 부모님들이 공부 스타 베끼기를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너는 왜 그렇게 하지 못하냐고 아이를 닥치는 부모가 있는가 하면, 은근히 그렇게 할 것을 종용하는 부모님들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한 것처럼 따라 하기만 하면 공부 스타가 되리라는 생각은 착각이다. 처해진 환경과 자라온 삶이 다르고, 무엇보다 두뇌 개성에 분명한 차이가 있기에 공부 스타들의 성공담은 결코 참고사항 이상이 될 수 없다.

 

 

고등학생이 되기 전까지 자녀에게 맞는 공부 스타일이 자리 잡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공부 스타일이 어떤 것인지부터 파악해야 합니다. 누가 먼저 자기 입맛에 맞는 생활과 공부를 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집니다.

 

#1. 자녀 각자에게 맞는 생활 리듬을 찾아야 합니다.

하루 주기와 일주일 주기의 생활에 리듬감이 생성되어야 합니다. 하루하루의 생활이나 일주일 단위의 생활 패턴이 안정되지 않는다면 공부가 아니라 어떤 일도 열심히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에게 맞는 생활 리듬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아이가 본능적으로 원하는 생활 패턴을 찾아야 합니다.

 

실천사항

1. 누구는 하루에 몇 시간 밖에 안 잔다더라 하는 식의 말을 하지 않는다.

2. 쾌적하고 활기찬 하루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생활 리듬을 함께 찾는다.

3. 지난 일주일을 정리하고 다음 일주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말 계획표를 함께 짜고 실천해 보면서 보완해 나간다.

 

Tip 자녀의 생활 리듬을 찾기 위한 질문 사항

-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은? 적절한 수면 시간은?

- 하루 중 공부와 휴식, 또는 여가 시간의 적정 비율은?

- 주말 시간을 활용하여 지난주 생활을 정리하고 다음 주를 활기차게 맞을 수 있는 준비에 필요한 것과 시간 계획은?

 

 

#2. 자녀에게 맞는 공부 환경을 위한 조건들을 찾아야 합니다.

자녀가 적응하기 힘든 상황을 만들어놓고 억지로 견디라고 하기보다, 보다 덜 강한 의지로도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현명합니다.

 

실천사항

1. 공부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기보다 편안하게 공부에 전념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이고 잘 준비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시간대, 공부계획, 환경)

2. 공부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찾아보고 충분한 대화를 통해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ip 자녀의 공부 환경을 위한 조건들을 찾기 위한 질문 사항

- 공부가 가장 잘 되는 시간대, 두뇌가 활성화되는 시간대는 언제인가?

- 공부를 시작하면 무리 없이 지속할 수 있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가?

- 편안하게 공부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인가? 혼자인가, 함께인가? 집인가, 밖인가? 폐쇄형인가, 개방형인가?

- 공부에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가? 휴대폰과 컴퓨터를 사용하는 규칙은? 친구는 방해가 되는가, 도움이 되는가?

 

 

#3. 내 아이의 두뇌 개성에 맞는 학습 스타일을 찾아내 그것을 몸에 익혀야 합니다.

먹기 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이기보다, 입맛에 맞는 방법으로 조리해서 먹이는 것이 훨씬 편하고 유익하다는 것은 이미 많은 부모님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자녀가 즐길 수 있는 학습 스타일을 찾아나가기 위해 자녀와 이야기를 나누도록 합니다.

 

실천사항

1. 누구는 어떻게 공부한다더라, 나는 이렇게 했다는 식의 얘기를 하지 않는다.

2. 자녀가 공부하는 모습을 관찰하면서 힘들어하는 부분, 서툰 부분, 소극적인 부분 등을 찾아본다.

3. 자녀 공부에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면, 관련된 정보를 수집해서 검토해본 다음 타당성이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시도해 보도록 한다.

4. 새로운 방법을 시도할 때에는 자녀의 반응을 관찰하고 느낌을 물어본다. 만약 거부 반응이 나타나거나 어렵다고 말하면 다른 방법으로 전환한다.

 

Tip 자녀의 공부 환경을 위한 조건들을 찾기 위한 질문 사항

- 혼자서 공부하는 게 좋은가? 강의를 듣는 게 편한가?

- 수업 시간에는 어떤 감각을 활용해야 하나? 시각, 청각, 운동 감각 중에서 가장 예민한 감각은?

- 본문 공부가 좋은가? 문제 풀이가 쉬운가?

- 속독형인가, 정독형인가?

- 어떤 과목을 공부할 때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가? 불편한 과목은 어떻게 공부해야 효과적인가?

- 노트 필기를 할 때 정리가 잘 되는가?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게 정리가 잘 되는가? 혹은 스스로 발표해 볼 때 정리가 잘 되는가?

- 선호하는 선생님의 스타일은 재미형인가? 실력형인가?

 

 

#4. 내 아이의 성향에 맞는 학습 동기와 의욕 충전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철이 들면 달라지겠지’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기보다는, 아이의 성향에 맞는 일상적인 만족감으로 독려하는 것이 훨씬 빠릅니다.

 

실천사항

1. 잘 설득하여 동기 부여만 되면 열심히 공부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버린다.

2. 평소 생활에서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관찰해 본다.

3. 아이의 가치 체계에 맞는 동기 부여를 위해 부모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4.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이가 어떤 유형인지 판단하여 장점은 어떻게 살리고, 단점은 어떻게 보완할지 생각해 본다.

 

Tip 자녀의 성향에 맞는 학습 동기와 의욕 충전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질문 사항

- 미래의 희망에 민감한가? 현재의 만족감이 중요한가?

- 자기 개인의 비전이 중요한가? 관계 속에서의 역할이 중요한가?

- 평소 욕심이 많은 편인가? 별로 욕심이 없는 편인가?

- 가장 잘 발달된 능력은? 흥미형? 노력형? 습관형? 연구형?

관련된 다른 카드뉴스를 만나보세요

한줄 의견을 나눠 보세요

0개 의견이 있습니다.

(주)비상교육 학부모 커뮤니티 대표자명 : 양태회 주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48 대륭포스트타워 7차 20층
사업자등록번호 : 211-87-0773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서울구로-2731호 TEL : 1544-0554 FAX : 02-6970-6149 E-mail : momntalk@momntalk.com

Copyright © 비상교육.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