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심리 클리닉 4편
아빠도 아이와 가깝게 지내고 싶지만 아이는 아빠에게 거리를 두려 합니다.
용기 내어 아이에게 말을 건네도 그 말 때문에 오히려 아이와의 관계가 악화되기까지 합니다.
아빠는 어떻게 해야 아이들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초등 심리 전문가 최정금 소장님이 아빠의 자녀교육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Q1: 아이가 아빠는 자신에게 관심이 없다고 생각해요.
A1: 아빠들이 엄마보다 공감이나 지지, 언어적 표현을 적게 하는 경향이 있어 아이는 아빠가 자신에게 관심이 없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오해를 막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공감해 주고, 빈도가 잦지 않더라도 아이와 노는 날을 정하는 등 아빠가 자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해 주셔야 합니다.
Q2: 엄마의 자녀교육과 아빠의 자녀교육은 다른 건가요?
A2: 필요에 따라 역할분담은 할 수 있지만, 엄마의 자녀교육과 아빠의 자녀교육은 다르지 않습니다. 엄마의 교육과 아빠의 교육이 다를 경우 아이가 혼란스러워 할 수 있기 때문에 엄마와 아빠는 아이에게 같은 메시지를 주면서 상호 작용해야 합니다.
Q3: 아빠가 자녀교육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A3: 아이가 엄마에게 혼나고 있을 때 끼어드는 행동은 피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버릇을 잡겠다고 너무 무섭게 혼내시거나 지나친 처벌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오히려 아이가 반발심을 갖고 일탈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초등 심리 클리닉 4편에서 확인해 볼까요?

- 약력소개
- 최정금심리학습클리닉 소장
최정금학습놀이터 대표
- 주요저서
- <엄마와 함께하는 학습 놀이>
<자기주도학습 초등 1~3학년>
<자기주도학습 초등 4~6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