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등교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부모님들이 가장 해 주고 싶은 것은 아마도 선생님, 친구들과의 의사소통과 교류일 것입니다. 학습 내용, 즉 지식이 교육의 최종 목표라면 온라인 강의만으로도 인재가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지식뿐 아니라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고 협력하는 등 다른 역량도 필요합니다. 오래전부터 교육계에서는 아이들에게 길러 주어야 할 역량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을 해 왔고, 그중 하나가 바로 의사소통 역량입니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는 단순히 한글에 관한 지식, 읽기 제재 등만이 나열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단원별로 아이들이 길러야 할 교과 역량이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 등의 6개 교과 역량이 단원별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2학년 2학기 3단원 <말의 재미를 찾아서>에서는 6가지 역량 중에서도 의사소통 역량이 반영된 단원입니다. 친구 또는 가족들과 말놀이를 하면서 언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사회적 상호 작용 능력도 길러 줄 수 있습니다. 이 단원의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이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다섯 고개 놀이를 소개합니다.
학년 / 학기: 2학년 2학기
단원: 3단원 말의 재미를 찾아서
핵심 개념: 말의 재미를 느끼며 말놀이 하기
준비물: 병뚜껑, 유성 싸인펜(또는 네임펜)
<놀이 방법>
1. 다양하게 모은 병뚜껑에 유성 싸인펜으로 여러 가지 낱말을 씁니다. 또는 라벨기를 이용하여 붙여줍니다.
tip) 동물 이름, 식물 이름, 위인 이름 등 아이가 관심 있는 분야를 정해서 적어도 좋고, 국어사전을 참고해서 적어도 좋습니다.
2. 병뚜껑을 모아 바구니 또는 상자에 넣어 준 뒤 단어 은행을 만듭니다.
3. 단어 은행에서 아이가 단어를 하나 뽑습니다.
4. 부모님은 아이가 뽑은 단어에 대해 아이에게 5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예시)
동물인가요?
주로 사는 곳은 어디인가요?
몇 글자인가요?
5. 아이가 부모님의 질문에 답하고, 부모님은 아이의 대답을 듣고 정답을 맞혀 봅니다. 맞혔다면 역할을 바꾸어서 반복합니다.
사진 출처: <엄마표 교과 놀이>, 영진닷컴
<추가 놀이> 협동심이 필요한 동작 스피드 퀴즈 놀이
어떤 낱말이나, 동화책 제목, 주인공 등을 하나 정한 다음, 가족들이 정지 장면 또는 동작으로 설명해 봅니다. 예컨대 <신데렐라> 책을 읽었다면 가족들이 유리구두를 찾는 장면을 표현해 봅니다. 가족 중 한 명은 그 장면을 보고 동화책 제목이나 주인공을 맞혀 봅니다.

- 약력소개
- 현직 초등교사
- 주요저서
- <엄마표 교과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