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학부모 상담을 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가 무엇일까요?
“우리 아이가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안 해요!”라는 말입니다. 혹시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부모님들도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사실 초등학교에서의 공부는 부모님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잘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초등에서 공부를 잘한다는 의미는 단원평가를 다 맞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전처럼 중간, 기말고사가 없으니까 누가 공부를 잘하고 못하는지 객관적인 지표가 없습니다. 수행평가 역시 아이들이 제시된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했으면 대부분 좋은 성적을 거둡니다. 담임교사 재량으로 실시하는 단원평가는 미리 시험 일정을 공지하며 범위도 적기 때문에 문제집을 풀며 대비하면 충분히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우리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물론 그것이 쉽지 않습니다. ‘내 아이니까’ 특별하게 보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학습 측면에서는 아이의 실력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보며, 세심하게 관찰하셔야 합니다. 무조건 학교와 학원에 맡기고, 아이를 방치하시면 안 됩니다. 가정에서 부모님이 아이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 꾸준하게 공부시키며 도와 주셔야 합니다.
공부는“유전 + 환경 + 본인의 노력”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중 '유전'과 '본인의 노력'은 부모님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환경'은 부모님이 도와줄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안 한다”는 말은 비겁한 핑계입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지금 공부를 하지 않는 아이들은 학년이 올라가도 공부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공부에서 중요한 건 '습관'입니다. 공부는 본인이 스스로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끈기, 목적의식, 스스로 하고자 하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부모님들께서 아이가 이런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꿈에 대해, 공부 방법, 부모님의 경험담 등을 수시로 이야기해 주는 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미디어 노출로 문해력이 부족합니다. 문해력을 키우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꾸준한 독서입니다. 독서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책과 자료를 통해 연구 성과가 입증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이 중요한 독서를 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독서를 하더라도 대부분 만화책만 읽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아이들의 독서 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까요? 아이 스스로 알아서 책을 읽으면 좋겠지만 그런 아이들은 소수입니다. 이 역시 부모님이 관심을 갖고 함께 노력해 주셔야 합니다.
첫째,“하루 15분 책 읽어주기”입니다. 짐 트렐리즈(Jim Trelease)가 쓴“하루 15분 책 읽어주기의 힘”이라는 책에 의하면 적어도 중학교 2학년 때까지는 책을 읽어주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아이들의 읽기 수준과 듣기 수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읽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것을 듣고 이해할 수 있어서 책 읽어주기를 통해 독서에 흥미를 느끼고, 스스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우리 현실에서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순간“읽기 독립”이라는 이름으로 책 읽어 주는 것을 멈춥니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해도 책 읽어주는 것을 멈추지 말고, 중학교 2학년 때까지는 함께 책을 읽어 주세요.
둘째,“동네 도서관, 대형 서점에 함께 가기”입니다. 방학 기간, 주말을 이용해서 동네 도서관에 아이의 손을 잡고 함께 가야 합니다. 대부분 도서관에 어린이용 열람실이 따로 있으니 부모님은 성인용 책을 대출하고, 아이는 어린이 열람실에서 자유롭게 책을 읽도록 해보세요. 또한 요즘 대형 서점은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잘 꾸며져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가서 아이가 원하는 책을 마음껏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님들께서 아이를 지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모범'입니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백문 불여일견(百聞 不如一見), 백견 불여일행(百見 不如一行)이라고 했습니다. '백번 묻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고, 백번 보는 것보다 한번 행하는 것이 낫다'는 말입니다. 모범을 보이지 않으면 아이에게 아무리 “책 좀 읽어라, 너는 커서 뭐가 되려고 매일 스마트폰만 붙들고 있니? 빨리 들어가서 공부해”라고 이야기해도 아이는 시큰둥합니다.
왜 그럴까요? 부모님은 매일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유튜브 영상을 보며, TV 드라마를 요일별로 찾아서 보는데 아이에게 말로만 공부하라고 강요합니다. 그러면 아이 입장에서는 겉으로는 마지못해 공부하는 척 하겠지만 속으로는 반발심만 키우며 집중하지 못합니다. 부모님이 먼저 거실 탁자에 앉아서 책을 보셔야 합니다. 혹은 부모님께서 자격증 시험에 도전하는 모습도 좋고, 외국어 공부를 하셔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부모님은 매일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고, TV만 보는데 아이에게만 강요하면 안 된다는 점입니다. 가장 좋은 아이 지도 방법은 바로 부모님의 솔선수범입니다.
![[맘앤톡] 배너용 사진_이상학.jpg](/upload/service/teach/pc/129/5f3f4ba7-08b7-4abd-9df5-2dae8b7a81fa.jpg)
- 약력소개
- - (현) 초등학교 교사
- 서울 노량진 희소고시학원(쌤플러스) 초등교사 임용고시 대표강사
-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초등특수 석사
- 주요저서
-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
<나중에 후회없는 초등 학부모 생활>
<초등, 글쓰기보다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